본문 바로가기
한 주의 말씀

2024.11.03. 주일말씀(히 5:1~10, 새 대제사장 되신 예수님)

by 일하는 목사 2024. 11. 3.

본문

히 5:1 대제사장마다 사람 가운데서 택한 자이므로 하나님께 속한 일에 사람을 위하여 예물과 속죄하는 제사를 드리게 하나니
히 5:2 그가 무식하고 미혹된 자를 능히 용납할 수 있는 것은 자기도 연약에 휩싸여 있음이라
히 5:3 그러므로 백성을 위하여 속죄제를 드림과 같이 또한 자신을 위하여도 드리는 것이 마땅하니라
히 5:4 이 존귀는 아무도 스스로 취하지 못하고 오직 아론과 같이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자라야 할 것이니라
히 5:5 또한 이와 같이 그리스도께서 대제사장 되심도 스스로 영광을 취하심이 아니요 오직 말씀하신 이가 그에게 이르시되 너는 내 아들이니 내가 오늘 너를 낳았다 하셨고
히 5:6 또한 이와 같이 다른 데서 말씀하시되 네가 영원히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르는 제사장이라 하셨으니
히 5:7 그는 육체에 계실 때에 자기를 죽음에서 능히 구원하실 이에게 심한 통곡과 눈물로 간구와 소원을 올렸고 그의 경건하심으로 말미암아 들으심을 얻었느니라
히 5:8 그가 아들이시면서도 받으신 고난으로 순종함을 배워서
히 5:9 온전하게 되셨은즉 자기에게 순종하는 모든 자에게 영원한 구원의 근원이 되시고
히 5:10 하나님께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른 대제사장이라 칭하심을 받으셨느니라
 

서론

그림을 하나 보겠습니다.

오늘 본문의 1절은 대제사장으로 시작합니다. 그리고 10절은 대제사장으로 마무리합니다. 곧 대제사장으로 시작해서 대제사장으로 마치는 본문이 1-10절이다. 오늘 본문에서 대제사장에 대해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별히 오늘 본문은 두 개의 단락으로 나누어집니다. 

1-4절 : 옛 대제사장 : 아론계열의 대제사장직
5-10절 : 새 대제사장 : 예수님의 대제사장직

먼저, 옛 대제사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대제사장은? 사람들 가운데서 선택된 사람이다. 이 말은 대표자이다. 비록 동일하게 죄가 있고 연약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백성의 대표자이다. 그래서 하나님은 구약시대부터 대제사장을 특별하게 사용하시기 위해 특별한 권위를 주셨습니다. 그러면... 사람들 가운데서 특별하게 선택받은 대제사장은 무엇을 했습니까? 사람을 위하여 속죄하는 제사를 드렸다. 속죄죄를 통해 백성들이 하나님과 화목케 하는 길을 여셨다.

대제사장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것은 속죄제사를 드리는 것입니다. 따라서 여기에는 반드시 속죄제물이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구약의 대제사장이 속죄제물을 드리를 때는 두 번의 제사가 필요합니다. 하나는 자신을 위해서이며 다른 하나는 백성의 죄를  속죄하기 이해서입니다. 

그 어떤 대제사장도 자기 스스로 그 일을 취할 수 없습니다. 첫 번째 대제사장은 아론입니다. 

출 28:3 아론의 옷을 지어 그를 거룩하게 하여 내게 제사장 직분을 행하게 하라

하나님께서 첫번째 대제사장으로 임명하는 장면입니다. 그리고 민 20: 23-28에 보면 아론이 죽고 난 이후 하나님께서  나타나서 이렇게 말씀입니다. 

민 20:26-아론의 옷을 벗겨 그의 아들 엘르아살에게 입히라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다음 대제사장을 입명 하는 장면입니다. 구약성경에서는 어떠한 대제사장도 하나님의 부름 없이 된 사람이 없습니다. 만약 그들이  스스로 대제사장의 역할을 취하면 어떻게 되었나요?

민 16:3 고라가 특별히 아론을 비판하며...왜 너희만 지도자의 역할을 하냐?

이 질문은 왜 너희만 대제사장의 역할을 하느냐?라는 질문이다. 이때 모세가 지시합니다. 아론도 자기 향로를 가져오고 고라도 자기 향로를 가져오라는 것입니다. 만약 하나님이 아론을 택했으면 고라의 향로의 향이 고라를 태울 것이고, 그 반대면 아론이 벌을 받을 것이라고 합니다. 이때 여호와께서 땅을 벌려 고라를 삼키게 하십니다.

결국... 하나님이 부르신 자만이 그 일을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전환

그러면 우리는 궁금합니다. 아론계열 중에도 대제사장이 있고, 예수님도 대제사장이라면 예수님의 대제사장으로서의 특별함은 과연 무엇인가?

그리스도께서 대제사장이 되심도 스스로 영광을 취하심이 아니요 아론계열의 대제사장과 같이 예수님도 스스로 된 것이 아닙니다. 예수님 스스로 대제사장이 되려고 하신 것이 아닙니다. 그러면 어떻게 되셨습니까? 오직 말씀하신 이가 그에게 이르시되라고 합니다. 뭐라고 했습니까?
"너는 내 아들이니 내가 오늘 너를 낳았다."
이 말이 무슨 의미냐? 구약의 대제사장은? 그냥 사람 가운데 특별히 선택하셨는데 예수님은 어떤 존재인가? 
사람이 아니다. 하나님이 자신의 아들을 대제사장 삼으셨다. 하나님의 아들은 곧 하나님이다.

여기서 구약과 신약의 대제사장의 현격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구약은 사람 가운데 선택된이라면 신약은 하나님의 아들, 곧 하나님이 선택된 것입니다.

구약의 아론 계열의 대제사장은 속죄제물을 드렸습니다. 예수님은 속죄제를 어떻게 드렸는가?
7절을 보면, 예수님께서 육체에 계실 때라고 합니다. 십자가의 죽음 이전에라는 의미입니다. 자기를 죽음에서 능히 구원하실 이에게 십자가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구원하실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하나님께 심한 통곡과 눈물로 간구와 소원을 올렸습니다. 그렇지만 결국 8절에서 하나님의 아들이면서 고난을 받으셨습니다. 곧 예수님의 속죄제물은 예수님 자신이셨습니다. 예수님의 십자가의 고난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이것이 구약과 신약의 대제사장의 역할의 가장 큰 차이입니다. 구약의 대제사장은 양을 잡아서 죄를 씻었지만 신약의 대제사장은 자신이 죽어서 죄를 씻는 것은 차원이 다른 속죄제물입니다. 
그래서 십자가의 길은 고난의 길입니다. 

옛 대제사장과 새 대제사장의 가장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구약의 대세장이 할 수 있는 것은 죄를 없게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신약의 대제사장은 죄를 없게할 뿐만 아니라 구원에 이르게 합니다. 더 나아가 영원한 구원에 이르게 합니다.

히 5:9 온전하게 되셨은즉 자기에게 순종하는 모든 자에게 영원한 구원의 근원이 되시고

따라서 새 대제사장 되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는 구원의 근원이시며 구원을 얻기 원하는 모든 사람이 바라고 따라야 할 것입니다.

 

(기도)

우리의 구원의 근원되시는 새대제사장되신 예수님을 붙잡고 믿음의 길을 하루 하루 걸어가도록 도와 주옵소서 우리를 위해 스스로 제물이 되셔서 우리의 죄를 용서하실 뿐 아니라 영원한 구원의 길을 열어주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을 바라보며 그분이 걸어가신 십자가의 길을 따르게 하옵소서. 예수님께서 순종의 모습을 보이신 것 처럼 우리도 순종하는 길을 걸어가게 하셔서 불순종하며 완악한 우리의 죄와 허물을 용서받고 순종과 선하심의 예수님을 닮게 하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